안녕하세요! 아이씨테크 입니다 :)
오늘은"무선충전기" KC인증 이야기를 가져왔습니다 !!
포스팅 하단 "공감♥" 버튼도 한번씩 클릭 부탁드릴께요 (づ ̄ ³ ̄)づ
"+이웃추가" 는 사랑입니다♥♥
무선충전기를 해외에서 수입하거나 OEM 방식으로 생산해 국내에 유통하려고 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어떤 KC 인증을 받아야 하나?” 하는 부분입니다. 제품 형태가 간단하더라도 무선 송신 기능이 있다면 전파법의 적용을 받는 방송통신기자재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반드시 KC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무선충전기에 실제로 필요한 인증이 무엇이며, 어떤 절차와 서류가 필요한지 실무자 관점에서 자세히 정리해 드립니다.
✅ 무선충전기에 적용되는 인증은?
무선충전기는 Qi 방식, 자기 유도 방식 등 무선 송전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전파를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전파법 제58조의2에 따라 전자파 적합등록 대상이 됩니다.
인증 명칭 | 방송통신기자재 적합등록 |
적용 법령 | 전파법 제58조의2 |
인증 대상 | 무선 충전 기능을 갖춘 모든 제품 (Qi 방식 등) |
주관 기관 | 국립전파연구원(RRA) |
마크 표시 | KC 마크 + 인증번호 (제품 또는 포장에 부착) |
주의: 전원 방식이 USB이든 AC이든 관계없이, 무선 송신 기능이 있다면 모두 적합등록 대상입니다.
🧪 시험 항목 (전자파 시험)
전자파 적합등록을 위해서는 공인 시험기관에서 아래 항목에 대한 시험을 거쳐야 합니다.
-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주변 기기와의 간섭 여부를 판단 - EMS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 외부 전자파에 대한 제품의 내성 시험 - RF 송신 특성 시험
→ 주파수, 송신 전력, 대역폭 등 무선 충전 시 방사 특성 확인
시험 방식은 제품의 구조와 스펙(RF 사양서, 회로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시험기관에서는 샘플 제품과 기술 문서를 기반으로 적절한 시험 항목을 선정하게 됩니다.
📝 적합등록 절차 상세 안내
1. 시험 준비
- 샘플 2대 제출
- 기술자료(RF 사양서, 회로도, 사용자 매뉴얼 등) 준비
2. 전자파 시험 진행
- 시험기관에서 EMI, EMS, RF 특성 시험 수행
3. 시험성적서 발급
4. 국립전파연구원 적합등록 신청
- 성적서, 제품 정보, 신청서 업로드
5. KC 인증번호 발급
- 등록 완료 후, 자동으로 KC 인증번호 부여
- 제품 본체, 포장 또는 사용설명서에 KC 마크 및 번호 표시 의무
🎯 실무 팁 요약
- 무선충전기는 전자파 적합등록 1건만 준비하면 OK
- 시험기관에 샘플과 기술자료 제출 → 시험성적서 발급 → 적합등록 완료
- KC 마크는 의무 표시 항목, 누락 시 유통 제한 가능
- 제품 사양이 애매할 경우, 먼저 RF 사양서 기준으로 시험 가능성부터 검토하는 것이 효율적
인증이 처음이시거나, 제품 구성이 복잡해 판단이 어려운 경우
기술자료만 공유해주셔도 적합등록 가능 여부를 빠르게 검토해드릴 수 있습니다.
💡 무선충전기 KC인증준비를 계획하고 있나요? 필요한 인증이 있다면 연락주세요! 😊
(포스팅 하단 "공감♥" 버튼도 한번씩 클릭! 잊지 않으셨죠!? ㅎㅎㅎ)
(※포스팅에 기재된 내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 )

★ 아이씨테크와 함께할 수 있는 연락처 ★
TEL : 031-317-1838
E-Mail : jhma@ictech.re.kr
Homepage : www.ictech.re.kr
'국내 인증 > 전기용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습기 KC 인증 완벽 가이드 :) (1) | 2025.04.23 |
---|---|
웹캠에도 KC 인증이 필요할까? 이 글 하나로 완벽 정리! (0) | 2025.04.22 |
전기청소기 KC 인증, AC/DC 전원 방식 따라 이렇게 다릅니다! (0) | 2025.04.17 |
배터리식 전동예초기, KC 인증은 어떻게 받을까? (1) | 2025.04.16 |
제빙기 KC 인증, 이렇게 준비하세요! – 전기용품안전인증부터 전자파까지 완전 정리 (1) | 2025.04.15 |